한문학/시경 2022. 10. 22. 22:25

※이 글은 학민문화사에서 출판한 『시전 부언해(詩傳 附諺解)』에 실려 있는 것을 기준으로 번역하였다.

望八重講一部『毛詩』, 追憶甲寅, 誠是料表. 孔聖刪正, 是經居一, 感發善心, 懲創逸志, 其況「二南」卽『書』「二典」, 樂而不淫, 哀而不傷, 詩人性情尤可驗矣. 其篇三百, 一言蔽之, 若問維何, 曰'思無邪', 當法祖宗古人攸訓.

팔십을 바라보는 나이에 『모시』를 다시 익히며 갑인년(1734년, 영조 10년)을 추억하니 진실로 뜻밖이다. 공자께서 산정하신 것 중에 이 경전이 하나를 차지하니, 선한 마음을 감발시키고 안일한 뜻을 꾸짖는다. 그 하물며 이남(「주남」과 「소남」)은 곧 『서경』의 이전(「요전」과 「순전」)이니, 즐겁기는 하나 음탕하지는 않고, 슬프기는 하나 상하지는 않으니, 시인의 성정을 더욱 징험할 수 있다. 그 삼백 편을 한 마디로 덮는다면, 무엇이라고 하겠는가?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라고 할 것이니, 응당 조종과 옛 사람들이 가르친 바를 본받아야 한다.

思無邪: 『논어』 「위정」에 '시 삼백 편을 한 마디로 덮는다면,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는 것이다.[詩三百, 一言以蔽之, 曰思無邪.]"라는 구절이 보인다.

百邪日去, 一敬堅持, 緝熙堂中, 仰覩『御詩』, 不惑之年, 莫能見效, 從心之文只誦, 靦然. 其雖然矣, 蓋聞於古, '作之不已, 乃成君子.', 暮年復講, 自强自勉, 心許宗國, 罔敢放忽. 莫云衰耄, 道豈遠哉? 其尤異者, 此月始講, 慷慨題弁, 醒我靈臺.

온갖 사악한 것을 날마다 버리려면 敬 하나를 굳게 지켜야 한다는 집희당 안의 『어시』를 우러러보니1), 불혹(40세)의 해에 효과를 보지 못하였고, 종심(70세)에 글을 다만 외우기만 해서 부끄럽다. 비록 그러하나 옛날 듣기로 '끊임없이 노력하면 군자가 된다.'라고 하니, 만년에 다시 익혀서 스스로 힘써서 국가에 마음을 허여하고 감히 방심하여 소홀히 하지 않으리라. 노쇠하고 늙었다고 말하지 말라, 도가 어찌 멀겠는가? 더욱 기이한 것은, 이 달에 익히기를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강개하여 서문을 지으니, 내 마음을 깨우려고 한다.

不惑,  從心: 『논어』 「위정」에 '사십 세에 미혹되지 않았다.[四十而不惑]', '칠십 세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라는 구절이 보인다.

弁文: 서문

'作之不已, 乃成君子.'는 『공총자(孔叢子)』 「집절(執節)」편에 나온다. 다만 『공총자(孔叢子)』에는 '作之不止'로 되어 있다.

靈臺: 마음을 이르는 말.

1) 『영조실록』 영조 17년 7월 24일에서는 숙종이 집희당에서 어제한 시를 언급한다.

성문의 천만 마디 말은, 놓친 곳을 찾아 알게 하려고 한 것이네. 천서는 온전한 덕을 밝혔는데, 인심은 암암리에 흩어져 옮겨 가네. 온갖 사악한 것을 날마다 버리려고 한다면, 敬 하나만을 반드시 굳게 지켜야 한다. 춘저에 일이 없는 날에는 항상 스승을 대할 때와 같이 하라.(聖門千萬語, 放處欲求知. 天敍明全德, 人心暗鑠移. 百邪將日去, 一敬必堅持. 春邸無事日, 恒如對傅時.)

歲甲申重陽月旣望題, 令入侍知經筵, 書於卷首, 以示沖子云爾.

갑신년(1764년, 영조 40년) 9월 16일에 지어서 입시한 지경연사로 하여금 권수에 쓰게 하여 어린아이들에게 보인다.

posted by 취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