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논어집주
2020. 7. 5. 16:52
25(65). 子謂韶,「盡美矣,又盡善也。」謂武,「盡美矣,未盡善也。」
공자가 소악을 평하면서 ‘지극히 아름답고 또 지극히 좋다.’라고 하였고, 무악을 평하면서 ‘지극히 아름답지만 지극히 좋지는 않다.’라 하였다.
韶 : 음악 이름 소
韶,舜樂。武,武王樂。美者,聲容之盛。善者,美之實也。
韶는 순 임금의 음악이다. 武는 무왕의 음악이다. 美는 소리와 모습이 성한 것이다. 善은 아름다움의 실제이다.
舜紹堯致治,武王伐紂救民,其功一也,故其樂皆盡美。然舜之德,性之也,又以揖遜而有天下;武王之德,反之也,又以征誅而得天下,故其實有不同者。
순 임금은 요 임금을 이어 다스림을 이루었고, 무왕은 주왕을 정벌하여 백성을 구제하였으니 그 공이 한 가지이다. 그러므로 그 음악이 모두 지극히 아름답다. 그러나 순의 덕은 본성대로 한 것이고 또 읍하고 사양함으로써 천하를 소유하였고, 무왕의 덕은 잃은 본성을 되찾은 것이고 또 정벌하고 주살함으로써 천하를 얻은 것이므로 그 실제에 같지 않음이 있다.
程子曰:「成湯放桀,惟有慚德,武王亦然,故未盡善。堯、舜、湯、武,其揆一也。征伐非其所欲,所遇之時然爾。」
정자가 말했다. “성탕이 걸왕을 유폐함에 부끄러워하는 덕이 있었는데 무왕 또한 그러하였으므로 지극히 좋지는 않다. 요 임금, 순 임금, 탕왕, 무왕의 법도는 하나이니, 정벌은 하고자 해서 한 것이 아니라 만난 때가 그러했기 때문이다.”
'한문학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일26. 내가 무엇으로 그를 관찰하겠는가 (0) | 2020.07.05 |
---|---|
팔일24. 그대들은 어찌 벼슬 없음을 근심하는가 (0) | 2020.07.05 |
팔일23. 공자의 음악론 (0) | 2020.07.05 |
팔일22. 관중의 그릇이 작구나 (0) | 2020.07.05 |
팔일21. 토지신의 신주 (0) | 2020.07.04 |